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경자 (소설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경자는 1948년 강원도 양양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73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확인》으로 등단하여, 여성의 삶과 내면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작품들을 주로 발표했다. 유려한 문체와 속도감 있는 문장으로 가독성이 뛰어나며, 소설집 《절반의 실패》를 통해 여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 『사랑과 상처』, 『절반의 실패』 등이 있으며, 1999년 한무숙문학상, 2011년 고정희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창 이씨 - 이한림
    이한림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서 제9사단장으로 백마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으며, 5·16 군사정변 당시 강제 예편 후 건설부 장관, 한국관광공사 사장, 대사를 역임하고 2012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평창 이씨 - 이용대
    이용대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혼합 복식 금메달, 2012년 런던 올림픽 남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며, 2006년 세계 주니어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3관왕을 차지하는 등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우승하였고, 은퇴 후 방송 활동을 시작했다.
  • 양양군 출신 - 김유미 (1979년)
    김유미는 1979년 출생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99년 CF 모델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했으며, SBS와 KBS 연기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 양양군 출신 - 박하준 (사격 선수)
    박하준은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로, 201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은메달,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금지현과 함께 은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선수단에 첫 메달을 안겼다.
  • 한무숙문학상 수상자 - 박완서
    박완서는 한국 전쟁의 비극, 분단 현실, 소시민적 삶, 물질만능주의 비판, 여성 문제 등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한무숙문학상 수상자 - 정을병
    정을병은 1959년 등단한 한국 소설가로, 고발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고 풍자하는 작품 활동을 펼쳤고, 소설가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사회 활동과 함께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이경자 (소설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글)이경자
이름 (한자)李璟子
로마자 표기I Gyeongja
출생일1948년 1월 28일
출생지미 군정 조선 강원도 양양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데뷔작확인
학력
학교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작품 활동
활동 기간1973년 - 현재
장르소설
주요 작품혼자 눈뜨는 아침
황홀한 반란

2. 생애

1948년 1월 28일 강원도 양양군에서 태어났다.[2] 양양은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하며, 이로 인해 이경자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에 대한 강한 애착을 갖게 되었다. 서라벌예술대학(현재 중앙대학교)을 졸업하고 19세부터 문학 공모전에 작품을 투고하기 시작했지만, 1973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확인》으로 등단하였다.[3]

1988년 여성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소설집 《절반의 실패》로 당시 사회에 큰 충격과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독립적 인격체로서의 여성을 탐구하고 여성의 근원성을 깊이있게 성찰하는 작품들을 선보여왔다.[15][16][17]

결혼과 출산은 이경자의 글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글쓰기에 대한 그녀의 강한 헌신은 한국 여성의 지위에 대한 많은 모순들을 드러내는 데 기여했다.[3]

주요 작품으로 소설『배반의 城』, 『사랑과 상처』, 『혼자 눈뜨는 아침』, 『황홀한 반란』, 『할미소에서 생긴 일』, 『절반의 실패』, 『꼽추네 사랑』, 『정(情)은 늙지도 않아』,『계화(桂花)』, 『천 개의 아침』, 『빨래터』, 『순이』 등이 있다. 산문 『반쪽 어깨에 내리는 비』, 『이경자, 모계 사회를 찾다』, 『딸아, 너는 절반의 실패도 하지 마라』, 『남자를 묻는다』 등이 있다.

1999년 『사랑과 상처』로 제 4회 한무숙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11년 제 6회 고정희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고정희 상은 페미니스트 시인이자 운동가였던 고정희의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사)또하나의문화'가 2001년부터 페미니즘 실현에 이바지한 여성에게 격년으로 수여하는 상이다.[18]

이경자 소설의 특징은 유려한 문체이다. 속도감 있는 문장 흐름으로 인해 이경자의 소설은 길이와 장르에 관계없이 가독성이 뛰어나다. 또한, 이경자 소설의 주요 주제는 "여성의 인생"이다. 여성의 인권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부족했던 시대를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일종의 환상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등장인물이 다소 전형적이라는 평가도 있었지만, 이경자는 사회적 약자였던 여성을 형상화하려는 노력을 해온 대표적인 여성 작가이다. 소설 외에도 에세이집도 많이 발표했다.

'''주요 이력'''

연도내용
1948년1월 28일, 강원도 양양군 출생[10]
1968년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졸업
1973년서울신문 신춘문예에 확인한국어이 당선되어 등단
1999년제4회 한무숙 문학상 수상
2000년환경부 환경 홍보 사절
2005년제2기 환경부 환경 홍보 사절
2011년제6회 고정희상 수상


3. 작품 세계

이경자 소설의 두드러진 특징은 유려한 문체로, 단편 소설이든 장편 소설이든 빠르고 읽기 쉽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녀의 생생한 문체가 진정으로 빛을 발하는 곳은 등장인물의 내면 대화이다. 이경자는 이러한 대화를 인물의 갈등과 고뇌를 드러내는 수단으로 자주 사용하며, 과도한 수식 없이 진솔하고 구어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그녀의 소설은 일상 언어의 자연스러운 사용을 통해 만들어진 현실 효과로 인해 독자들에게 진정성을 느끼게 한다.[4]

이경자가 가장 관심을 갖는 주제 중 하나는 기 드 모파상의 《여자의 일생》에 묘사된 것과 유사한 여성의 갇힌 삶이다. 여성의 변신을 다룬 그녀의 작품에서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5] 1988년 여성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소설집 《절반의 실패》로 당시 사회에 큰 충격과 반향을 일으켰으며, 이후 독립적 인격체로서의 여성을 탐구하고 여성의 근원성을 깊이있게 성찰하는 작품들을 선보여왔다.[15][16][17]

그녀의 소설 중 하나는 결혼 제도와 남편의 무관심에 대해 초조해하는 기혼 여성 주인공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여주인공은 결국 진정한 사랑인 다른 남자를 만난 후 결혼 생활을 끝낸다. 이경자의 작품에서 결혼 제도 아래에서 길들여졌지만 나중에 '사랑의 전사'로 다시 태어나는 대부분의 여성들은 원래 편안한 삶을 누리는 중산층 주부이다. 이경자의 장편 소설 《아침 홀로 깨어나》(1993)가 이러한 유형의 작품이다.[6]

이경자는 또한 소설에서 전기적 형식을 사용해 왔다. 이경자의 작품 중 하나에서는 어린 시절에는 희망에 넘쳤지만 결혼 후 비극과 고통에 빠지는 여주인공을 독자에게 소개하며, 이경자는 이러한 변신을 자세하게 묘사한다. 현대 문학 시대 이전의 구전 전통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구두로 전했다. 마찬가지로, 이경자 작가의 작품 속의 화자들은 결혼, 출산, 불성실한 남편, 가족 간의 불화 및 기타 중요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한 긴 삶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경자의 호평을 받은 수상작인 《사랑과 상처》(1998)와 《정은 늙지도 않아》(1999)는 위에서 설명한 종류의 작품의 좋은 예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개인의 삶의 역사를 개인과 마법처럼 얽혀 있는 한국 현대사를 조명하는 형태로 제시한다.[7]

3. 1. 주요 작품

다음은 소설가 이경자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소설집'''

'''장편 소설'''

  • 《배반의 城》
  • 《사랑과 상처》
  • 《혼자 눈뜨는 아침》
  • 《황홀한 반란》
  • 《할미소에서 생긴 일》
  • 절반의 실패
  • 《꼽추네 사랑》
  • 《정(情)은 늙지도 않아》
  • 《계화(桂花)》
  • 《천 개의 아침》
  • 《빨래터》
  • 《순이》
  • 《아침 홀로 깨어나》 (1993)[6]
  • 《격정적 반항》
  • 《애정은 시들지 않는다》
  • 《누가 매듭을 풀까?》
  • 《계수나무 꽃》


'''연재 소설'''

  • 《반쪽의 실패》


'''단편 소설'''

  • 확인한국어 (1973년)
  • 할미소에서 생긴 일한국어 (1984년)
  • 절반의 실패한국어 (1989년)
  • 혼자 눈뜨는 아침한국어 (1993년)
  • 황홀한 반란한국어 (1996년)
  • 정은 늙지도 않아한국어 (1999년)
  • 생각보다 긴 밤한국어 (2006년)
  • 천 개의 아침한국어 (2007년)
  • 귀비의 남자한국어 (2008년)
  • 빨래터한국어 (2009년)

4. 사회 활동

2005년 11월 제2기 환경부 환경홍보사절을 지냈다.[1]

5.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91년제4회 한무숙 문학상
1999년제4회 한무숙 문학상
2004년아름다운 작가상
2011년제6회 고정희[10]


6. 평가

이경자 작가의 작품은 유려한 문체로 인해 단편 소설이든 장편 소설이든 빠르고 읽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등장인물의 내면 대화를 통해 인물의 갈등과 고뇌를 드러낼 때 진솔하고 구어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들에게 진정성을 느끼게 한다.[4]

기 드 모파상의 《여자의 일생》에 묘사된 것과 유사한 여성의 갇힌 삶은 이경자가 가장 관심을 갖는 주제 중 하나이다. 그녀의 작품에서는 결혼 제도와 남편의 무관심에 초조해하는 기혼 여성 주인공이 진정한 사랑을 만나 결혼 생활을 끝내는 유형과, 어린 시절에는 희망에 넘쳤지만 결혼 후 비극과 고통에 빠지는 여주인공의 변신을 자세하게 묘사하는 유형을 찾아볼 수 있다.[5] 전자의 예로는 장편 소설 《아침 홀로 깨어나》(1993)가 있으며,[6] 후자의 예로는 《사랑과 상처》(1998)와 《애정은 시들지 않는다》(1999)가 있다. 이 작품들은 개인의 삶의 역사를 한국 현대사와 얽어 조명하는 형태로 제시된다.[7]

이경자는 1999년 제4회 한무숙 문학상, 2011년 제4회 고정희 문학상,[8] 2004년 젊은 작가들이 나이든 작가에게 수여하는 아름다운 작가상을 수상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2] 웹사이트 이경자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14
[3]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4]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5]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6]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7]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8] 웹사이트 이경자 > 수상내역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14
[9]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10] NAVER PeopleService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
[11]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klti.or.k[...] 2014-02-10
[12] NAVER 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2014
[13] NAVER 韓国女性文人辞典 http://terms.naver.c[...] 2014
[14] 웹인용 네이버 인물 정보 http://search.naver.[...] 2011-11-18
[15] 뉴스 신작소설 ‘성옥이네 집은 어디인가’ 연재, 소설가 이경자씨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1-10-14
[16] 뉴스 이경자 연재소설 그림 작업 서양화가 허은숙씨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1-11-11
[17] 뉴스 제6회 고정희상에 소설가 이경자 씨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1-06-09
[18] 뉴스 제6회 고정희문학상에 소설가 이경자(양양)씨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1-06-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